티스토리 뷰
목차
전주시외버스터미널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가리내로 30(금암동 460-8)에 위치한 시외버스 터미널로, 전주고속버스터미널과 나란히 붙어 있는 쌍둥이처럼 운영되고 있다. 과거 맞은편에는 대한관광리무진 터미널이 있었지만, 현재는 효자동으로 이전하여 이용이 불가능하다.
이 터미널은 과거 한진고속이 1995년부터 센트럴시티 및 동서울행 고속버스를 운행하던 곳이었으나, 2006년 4월 8일 이후 해당 노선들이 동양고속으로 이관되면서 전주고속버스터미널로 통합되었고, 이에 따라 고속버스는 이 터미널에서 더 이상 출발하지 않게 되었다. 이 변화로 인해 전주의 고속버스 노선은 호남 지역 중심의 금호고속보다 영남권에 강한 동양고속의 비중이 더욱 커진 상태다.
🚍전주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조회
시외. 고속버스 예매 사이트 이용 - 공식 예매 사이트에서 출발지, 도착지, 날짜 선택 후 검색하시면 해당 노선의 운행 시간과 좌석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속버스 앱 활용 (고속버스 통합 예매 앱, 티머니고 앱)
- 스마트폰에서 앱 다운로드 후 간편하게 시간표를 조회 가능합니다.
- 실시간 좌석 정보 확인 및 예매도 가능합니다.
시외.고속버스터미널 고객센터 문의 - 전화로 직접 문의하시면 실시간 정보 제공이 가능합니다.
현장 방문 (매표소 안내) - 터미널 매표소에서 직원에게 문의하시면 가장 정확한 정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전주시외버스터미널 예매방법
시외. 고속버스를 미리 예매하면 좋은 좌석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빠르게 탑승할 수 있습니다! 🚍💨
시외. 고속버스는 다양한 예매 방법이 있으니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면 좋습니다.
🔹 온라인 예매 (PC & 모바일)
- 공식 예매 사이트에서 예매 가능
- 신용카드, 체크카드, 간편 결제 지원
- 모바일 티켓을 이용하면 발권 없이 바로 탑승 가능
🔹 모바일 앱 예매
- 고속버스 통합 예매 앱이나 티머니GO 앱을 통해 간편하게 예매 가능
- 실시간 좌석 조회 및 할인 혜택 제공
🔹 현장 예매 (터미널 창구 이용)
- 당일 표 구매 가능하지만, 성수기에는 조기 매진될 수 있음
- 좌석 선택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미리 예매하는 것이 좋음
🔹 무인 발권기 이용
- 터미널 내 무인 발권기를 이용해 빠르게 표를 구매할 수 있음
- 현금/카드 결제 모두 가능
1. 전국 노선 안내
전주시외버스터미널은 총 133개 노선을 보유하고 있는 전라북도 대표 허브 터미널이다. 호남, 수도권, 영남, 충청, 강원 등 5개 권역에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진안, 남원, 유성 등의 중간 허브를 거치는 구조다.
노선 정보는 도로 사정이나 회사별 시간표 변경에 따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출발 전 전주시외버스터미널 공식 시간표 또는 현장 안내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특히 일부 노선은 주말에 증편되거나 휴무일에만 운행되기도 하며, 고속도로 정체 여부에 따라 소요시간도 유동적이다.
2. 호남권 노선
2.1. 진안·무주·장수 방면
전북 동북부 방면 노선(무주, 장수, 금산 등)은 대부분 진안시외버스공용정류장을 중간 허브로 사용한다.
- 진안
- 무주(안천, 적상 / 장계, 안성 경유)
- 구천동(설천, 리조트 정차)
- 장수(천천 / 장계, 계남 경유)
- 금산(정천·주천 / 안천·송풍 경유)
2.2. 임실·남원·여수 방면
남원시외버스터미널을 중심으로 전남 동부권과 연결된다. 다만 전라선 철도에 밀려 버스 운행 횟수는 많지 않고 소요시간도 긴 편이다.
- 임실(일 34회)
- 남원(직통 30회, 직행 26회)
- 뱀사골(일 3회)
- 곡성, 화엄사(구례 경유), 여수(순천·여천 경유), 동광양
- 순창(청웅, 강진 / 오수, 동계, 적성 경유)
2.3. 순창·쌍치 방면
- 순창(직통 / 강진면 경유)
- 쌍치(산외, 칠보, 능교 경유)
2.4. 정읍·고창·목포 방면
- 정읍(직통 / 원평, 태인 정차)
- 고창(직통 / 정읍 경유)
- 영광(대산 경유), 법성포(고창, 무장, 공음 경유), 목포(직통 / 영광·무안·청계 경유)
- 구시포(정읍, 고창, 해리 경유)
※ 전남 동부권은 철도 이용이 유리하나, 전남 서해안권(목포, 영광 등)은 버스 이용이 효율적이다.
2.5. 김제·부안 방면
- 김제, 부안(직통 / 김제 경유), 격포(변산), 곰소, 내소사(곰소 경유)
- 신태인(원평, 감곡 / 태인 경유)
2.6. 익산·군산 방면
- 익산, 군산(직통 / 익산 경유), 군산대, 군산공항, 익산역
2.7. 익산시 방면
- 여산, 함열 (삼례, 금마 경유)
2.8. 광주 방면
- 광주 일반버스(완산동 경유), 우등버스(완산동, 효자동, 혁신도시 경유)
3. 수도권 노선
서울(남부)행은 가장 운행이 많으며, 수원·용인·부천·인천공항 등 수도권 주요 도시로 고르게 분포한다.
- 서울(남부): 05:45~21:15, 일 38회
- 수원: 10회 (일부 전북혁신도시, 세종청사, 서수원 종착)
- 안산(8회), 안양(6회), 부천(9회), 용인(8회), 신갈(6회), 시흥(1회), 이천(3~5회), 여주(3회), 평택(12~14회), 의정부(5회)
- 인천국제공항: 일 18회
※ 일부 노선은 시외우등 전용 또는 일부 시간대에 우등이 투입된다. 전회 우등할증이 적용되는 노선도 존재한다.
4. 영남권 노선
철도 연결이 미흡한 영남권은 대부분 버스를 통한 직통 이동이 필요하다.
- 서부산(사상), 대구(서부), 마산, 창원, 양산, 진주, 구미, 경주, 포항, 함양, 김해, 해운대
5. 충청권 노선
대부분 청주, 대전을 경유하며, 일부 지역(금산, 서천)은 단독 노선으로 운행된다.
- 금산(정천·주천 / 안천·송풍 경유)
- 서대전(2회)
- 서천(익산·군산 경유), 장항(4회)
- 성환, 천안, 청주, 청주북부, 충주, 세종, 유성(일 27회)
6. 강원권 노선
- 강릉(유성·청주북부 경유, 3회)
- 원주(4회), 홍천(4회), 횡성(2회), 인제, 원통, 속초
※ 강원권도 철도 연결이 취약해 버스 이용이 필수. 하지만 대부분 유성 경유로 소요시간이 길고, 서울 환승이 효율적인 경우가 많다.
7. 승차장 안내
전주시외버스터미널 승차홈은 1번부터 20번까지 있으며, 노선별로 정해진 홈에서 승차해야 한다.
승차홈 | 행선지 |
1번 | 예비홈 |
2번 | 인천공항 |
3번 | 서울(남서울) |
4번 | 안산, 안양, 부천 |
5번 | 수원, 성환, 평택, 의정부 등 |
6번 | 강원권 (원주, 강릉, 속초 등) |
7번 | 목포, 고창, 법성포 등 |
8번 | 정읍, 영광, 동호, 해리 |
9번 | 김제, 격포, 내소사 |
10번 | 부안, 곰소, 금산 |
11번 | 대전서남부, 논산, 쌍치, 신태인 |
12번 | 동광양, 남원, 진주, 여수, 창원 |
13번 | 임실, 뱀사골, 화엄사 |
14번 | 광주, 순창, 마산, 진주(직통) |
15번 | 군산, 군산대, 장항, 서천 |
16번 | 익산, 군산공항 |
17번 | 진안, 무주, 장수, 금산, 서대구(완행) |
18번 | 서부산, 서대구, 김해, 경주, 포항 |
19번 | 유성, 청주, 충주, 이천, 여주 |
20번 | 예비홈 (19번과 겸용) |
![]() |
![]() |
8. 전주시외버스 간이정류장
전주시 곳곳에는 간이 정류장이 존재하며, 주요 노선들이 해당 정류장을 경유한다. 일부는 하차 전용이며,
매표소 운영 여부도 상이하다.
- 덕진정류장: 전북대 근처, 1번·21번 국도 노선 및 유성/강원권 전 노선 경유
- 인후동: 안골 사거리. 진안, 무주, 금산 등 경유
- 노송동: 2018년부터 홈플러스 맞은편. 임실, 남원, 순창 등 경유
- 남문: 남부시장 인근. 순창, 쌍치, 칠보 등
- 완산공용정류소: 정읍, 고창, 목포, 김제, 부안 등
- 전주대학교: 남서울행 노선 정차
- 효자동: 전북교육청 앞. 고창, 격포, 목포 등
- 전주완주혁신도시: 수도권(서울, 인천, 고양 등) 및 대구·창원 일부 노선
- 호남제일문: 전주시 북부와 완주 주민 이용. 일부 노선은 하차만 가능